반응형
이 글은 래빗노트를 읽고 생각을 남기기 위한 개인적인 글입니다.
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,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
슈링코노믹스란?
축소 경제 또는 수축 경제
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경제도 침체되는 현상
출산율 감소 - 생산가능 인구(15~64세) 감소 - 생산/소비/투자/고용
우리 산업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?
인구 감소에 따른 자동화, AI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 같다.
사실 이미 많은 가게들에서 키오스크, 티오더 등을 활용하여, 단순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.
실제로 기업에서도 AI 기술 발달로 인한 해고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. (구글 3만명, 국민은행 콜센타 협력업체 240명)
결국,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의 일부는 AI에게 내줄 수 밖에 없는 것이다.
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당연히 AI, GPU, 고령화 시대에 따른 노인 관련 산업들에 관심을 가져야할 것이다.
개인의 관점에선 AI에 대체되지 않기 위해, 어떠한 능력을 갖춰야할 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.
산업 혁명이 일어나고 많은 노동자가 직장을 잃었다. 하지만 그로 인해 생긴 새로운 일자리들이 있었고, 그 자리를 차지한 준비된 사람들만 성공할 수 있었다.
다가올 미래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보자.
반응형
'투자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 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하한다면? (0) | 2024.01.28 |
---|---|
경제신문읽기_매경e신문 할인받아 구독하기 (0) | 2022.02.28 |
[부동산] 월급쟁이 부자들 내집마련기초반 신청 (0) | 2021.07.04 |
공모주 균등배정 공부 | SK바이오사이언스 (0) | 2021.03.11 |
도이치모터스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, 전환사채권이란? (0) | 2021.02.25 |